깨알정보

2024년 부터 신혼부부 양가서 3억까지 받아도 세금 납부 면제 확정!!!

댄스리 2023. 7. 30. 18:58
반응형

 

신혼부부 양가에서 3억까지 지원
결혼 시 부담 감소 기대 예상

 

대한민국은 인구 감소하는 추세로 바뀌여가고 있습니다.

대표적인 이유로는 결혼과 출산에 있어 늦쳐지거나 안 하는 추세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

증여액과 인구감소가 무슨 이유가 있을까???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.

 

 

청년층이 사회 진출이 늦어지면서 돈 모으는 속도가 현저히 줄어들었고

돈 모으는 속도보다 자산가격 상승 속도가 더 가파르게 상승하여 결혼에 대한 생각을 반감시키는 것 같습니다.

 

 그래서 결혼에 대한 두려움이 큰 청년들을 위해서, 국가에서 부모로 부터 증여할 수 있는 금액을 높여주었습니다.

그래서 2024년 부터는 양가로부터 최대 3억까지 지원받아서 결혼을 할 수 있게 되어 신혼부부들에게 마음의 짐을 살짝 덜어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봅니다.

 

< 증여 재산 공제 한도 >

구 분 현 행 개 정 안
배우자 6억원 6억원
직계존속 -> 직계비속 5천만원(미성년자 2천만원) 5천만원(미성년자 2천만원) +
혼인공제 1억원
직계비속 -> 직계존속 5천만원 5천만원
기타친족 1천만원 1천만원

해당 개정안 혜택은 혼인 신고일 전후 2년간, 총 4년을 기준으로 직계존속으로 부터 증여받은 1억을 추가함

 

7월 기준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의 중윗값은 3억 8700만원이며, 초혼 평균 연력이 포함된 30~39세의 2023년 중앙값 기준 자산액은 2억 7189만, 부채가 1억원임을 감안할 때 단순계산으로 중위권에 위치하는 신혼부부가 최대한도 증여를 받으면 수도권 전세를 구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 듭니다.

 

모든 신혼부부가 내 집 마련을 꿈꾸겠지만, 해당 정책으로는 수도권에서 내집 마련은 아직 버거울 수는 있습니다.

또한, 전세사기가 판을 쳐서 전세에 대한 믿음이 떨어지는 요즘 시장에서 전셋집으로 결혼을 하라?? 반감이 드실 수 있지만, 해당 전제를 말씀드리는 이유는 결혼의 문턱이 마냥 높다고 느끼시는 분들이 조금이나마 문턱을 낮출 수 있게 느끼실 수 있게 적어보았으니 안 좋은 시선으로 안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:)

 

 

지방으로 내려온다면 3억 증여에 자본금으로도 1~3년 된 신축 아파트를 충분히 매수할 수 있으니 지방 거주도 고려해 보면 결혼할 수 있는 확률이 더 올라가겠죠???

 

국가에서 신혼부부를 위해 많은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, 실질적으로 몸에 느껴지지는 것이 많이 없어 바뀐 게 맞는 의문이 생기지만 나름 변화된 정책을 찾아보고 이용하여 결혼을 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.

반응형